안녕하세요. 디오 블로그 마스터 입니다. 지난 시간에 '멀티 페르소나'와 '라스트핏 이코노미' 소비 트렌드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페어 플레이어' 에 대해 알아볼까 하는데요. 알 것같기도 하고, 한 편으로는 모르는 의미인 듯한 이 소비 트렌드는 과연 어떠한 것일까요? 2019년도 이제 정말 막바지로 다가왔습니다. 2020년엔 과연 어떠한 일들이 벌어질까요?
2020년 소비 트렌드 전망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앞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페어 플레이어' 인데요. 2020년 소비 트렌드 전망으로 10가지 소비 트렌드는 하기와 같습니다.
<2020년 소비트렌드 전망>
(1)Me and Myselves, 멀티 페르소나
(2)Immediate Satisfaction: the 'Last Fit Economy', 라스트핏 이코노미
(3)Goodness and Fairness, 페어 플레이어
(4)Here and Now: the 'Streaming Life', 스트리밍 라이프
(5)Technology of Hyper-personatization, 초개인화 기술
(6)You're with Us, 'Fansumer', 팬슈머
(7)Make or Break, Specialize or Die, 특화생존
(8)Iridescent OPAL: the New 5060 Generation, 오팔세대
(9)Convenience as a Premium, 편리미엄
(10)Elevate Yourself, 업글인간
(1)Goodness and Fairness, 페어 플레이어
페어 플레이어는 과연 어떤 소비트렌드를 가르키는 말 일까요?
공평하고 올바른 것을 추구한다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페어 플레이어]는 구매 행위보다 중요한 것은 그 이후의 선한 영향력, 즉 무한 경쟁 시대 속에서 소비자에게 공정함은 가장 필요한 이슈사항이라는 것입니다.
공정함의 요소를 총 5가지 섹션으로 구분해서 정의 하였습니다.
1. 기능 중심의 수평적 관계를 지향한다.
크게 예를 들면 어떤 직장에 취직을 하게 되어 본인 스스로 회사에서의 영향력을 펼치게 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나이가 많든 서열이 높거나의 관계성이 없이 기능 중심적 사고로서 조직에서 내가 상당한 능력을 발휘하거나 지니고 있다면 공정성에 의거하여 수평적으로 남들보다 우대를 받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 입니다.
누가봐도 내가 더 일을 많이하고, 회사에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직급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혹은 상대가 나이가 더 많다고 하더라도 나보다 우대를 불리하게 받는다면 그것 자체만으로 공정성의 어긋남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성 역할은 차별이 아닌 차이에 기반한다.
대표적인 예로 요즘 한국에서의 최고의 이슈사항은 남녀갈등이기도 합니다. 옛날의 사고방식으로서 판단하였을 때는 여자는 이랬으니까 참아야지, 남자는 이랬으니까 견뎌야지 라는 등의 고정관념으로 가둬두기 쉽상 이었지만 현재는 다릅니다. 사회가 진보적으로 변하고 있고, 이제는 남녀가 수평적인 관계로서 정형화된 역할 분담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 바로 그 의미가 되는 것인데요.
결혼을 해서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 동등하게 이루어지게끔 공동 분담이 명확히 되고 있는 지금, 성역할을 기존의 역할에서 탈피하여 각 가정의 상황에 맞추어 역할을 나누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 하나는 가정 교육에 있어서도 엄마는 아빠와의 상담을 통해서 의견의 결정을 내리려고 합니다. 단독의 결정이 아닌 부부 공동의 책임이기 때문입니다.
3. 계약과 메뉴얼을 중시한다.
우리는 계약서를 쓰는 일상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계약서 상에서의 내용을 벗어난 요구를 받거나 했을 때 공정성에 어긋난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직장인이라면 일을 할 때는 일을 열심히 하고, 쉴 수 있는 쉬는 시간에는 나만의 시간을 보장받길 원합니다. 그것이 바로 공정성 이라는 것 인데요.
기성세대의 눈에는 요즘세대들은 자기 자신만 생각한다 라고 하지만 세상이 변한것처럼 라이프 생활도 결국 메뉴얼대로 계약대로 이행되는 것이 공정성의 이념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회사를 위해서 무조건적인 희생만을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회사에 몸담아서 노력하는 대가만큼 요청할 부분은 확실히 요청하게 되는 세상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투자한 노력에 정당한 대가를 받고, 그에 상응하는 인정을 받는 다는 것은 애매한 기준일수도 있지만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그에 따라 일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은 오히려 이점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다음편은 이어서 남은 공정성에 대한 이념 2가지에 대해 함께 알아보며 트렌드를 샅샅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오 블로그와 함께 따뜻한 겨울나기 하시길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19/12/18 - [BOOK/이 달의 책]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페어 플레이어)
2019/12/06 - [REVIEW/생활가전] - [nathome] 샤브샤브 멀티쿠커, 구이와 찌개를 동시에!
2019/11/21 - [ITEM/과자쿠키] - 홍콩 제니베이커리 제니쿠키 4믹스 640g
2019/11/21 - [ITEM/과자쿠키] - 홍콩 제니베이커리 제니쿠키 4믹스 320g
2019/11/21 - [ITEM/생활가전] - 휴대용 의류 건조기
2019/11/20 - [ITEM/차량용품] - 도로즈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2019/11/21 - [ITEM/차량용품] - 겨울 필수 아이템, 겨울용 양모 핸들커버
2019/11/21 - [ITEM/차량용품] - 겨울 필수 아이템, 도로즈 스파이크 스노우체인 밸트형 6P
2019/11/21 - [ITEM/차량용품] - 스마트 차량용 공기정청기 무선충전기 방향제 겸용
2019/11/21 - [ITEM/차량용품] - 차량용 고속무선충전기 스마트오토센서 DO-WC3
2019/11/21 - [ITEM/여행레저] - 휴대용 도어락 침입경보 도어스토퍼
'BOOK > 이 달의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초개인화 기술) (0) | 2020.01.22 |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스트리밍 라이프) (0) | 2020.01.17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페어 플레이어)-2편 (0) | 2019.12.27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멀티 페르소나, 라스트핏 이코노미) (0) | 2019.12.03 |
트렌드 코리아 2019, 트렌드 돌아보기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