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오블로그 마스터입니다. 오늘은 트렌드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 [특화생존]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포스팅을 시작하기에 앞서 현재 2020년 초입시기 부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분들의 걱정과 근심이 끊이지 않는 지금, 하루 빨리 이 시국이 끝나서 대한한국의 모든 분들이 일상에서의 제자리를 찾길 기원합니다.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0 전망 [트렌드 코리아 2020]에서 소개하는 [특화생존]은 과연 어떠한 소비트렌드인지 샅샅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소비 트렌드 전망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특화생존' 인데요. 2020년 소비 트렌드 전망으로 10가지 소비 트렌드는 하기와 같습니다.
<2020년 소비트렌드 전망>
(1)Me and Myselves, 멀티 페르소나
(2)Immediate Satisfaction: the 'Last Fit Economy', 라스트핏 이코노미
(3)Goodness and Fairness, 페어 플레이어
(4)Here and Now: the 'Streaming Life', 스트리밍 라이프
(5)Technology of Hyper-personatization, 초개인화 기술
(6)You're with Us, 'Fansumer', 팬슈머
(7)Make or Break, Specialize or Die, 특화생존
(8)Iridescent OPAL: the New 5060 Generation, 오팔세대
(9)Convenience as a Premium, 편리미엄
(10)Elevate Yourself, 업글인간
(1)Make or Break, Speciatize or Die, 특화생존
특화생존은 과연 어떤 소비트렌드를 가르키는 말 일까요?
2019년 소비트렌드 '컨셉을 연출하라'를 모티브로 2019년의 소비자들은 컨셉 있는 소비를 추구했습니다. 그로 인해서 더 큰 만족감을 경험하기도 했었는데요. 예를 들어 자신이 운영하는 SNS나 블로그에 저마다 각양각색으로 인증샷을 찍어서 업데이트를 하곤 했습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만족감이 넘치는 소비를 경험하였지만 2020년 지금은,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겠다라는 목표가 아니라 이 시장에는 없는 게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만족을 넘어서서 한 특정분야에 대해서 전문가, 매니아 수준으로 변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컨셉은 갖추어져 있꼬, 다수가 아닌 소수의 영역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콘텐츠를 활용하여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는 전략이 유용하다 평가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화생존 말 그대로 이제는 특별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인 소비자가 추구하고, 바라는 제품, 시장, 서비스를 구축해야 합니다.
어떤 제품이든 서비스든 특화해야지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 트렌드는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괜찮은 것보다 선택적 소수의 확실한 민족이 더 중요해졌다는 시대의 흐름이기도 합니다.
핀셋전략으로 '고객의 특성'을 관찰해서 특화한 마켓을 형성하며, 현미경전략으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해서 하나에 초점을 맞춘다거나 하는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역량에 힘을 모은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런 특화생존 소비 트렌드에 따라서 <여성조선>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셀럽들이 어떠한 특화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인터뷰를 한 사례도 있습니다. 남들이 다 좋다고 해서 그 제품을 사용한다기보다 나만의 취향이 반영된 특화된 아이템을 알아보고, 제품을사용하는 것이 똑똑한 소비형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기존 향수는 그 날의 기분이나 의상과 같은 외적인 것에만 국한되어 사용했다면 나만의 향수를 사용하여 자신이 내면과 평안, 그리고 안정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만끽하는 일례도 [특화생존]이 말하는 소비 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개인의 취향을 분석하여 영화를 추천 해준다거나 드라마를 추천해주는 빅데이터와 기술력을 기반한 서비스도 특화생존이 말하는 소비이기도 하지요. 대표적으로 왓챠플레이,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있으며 고유의 알고리즘을 통해서 사용자가 시청했던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취향을 분석해서 자동으로 영화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남들이 다해서 시작해보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고유의 취향이 녹아들어 새로운 소비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창조해 나가는 것이 바로 [특화생존]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분들만의 고유한 취향을 담아서 새로운 특화생존에 견줄만한 트렌드를 만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BOOK > 이 달의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편리미엄) (0) | 2020.04.20 |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오팔세대) (0) | 2020.03.12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팬슈머) (0) | 2020.02.21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초개인화 기술) (0) | 2020.01.22 |
트렌드 코리아 2020, 소비 트렌드(스트리밍 라이프) (0) | 2020.01.17 |